본문 바로가기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탈출증)

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를 잇는 물렁뼈 조직입니다.

디스크는 유연하고 탄력적이므로 척추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충격을 흡수합니다.

디스크 내부의 수핵은 대부분 수분으로 이뤄져 있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분이 빠져나가면 탄력성이 떨어져 외부의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디스크가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허리디스크 또는 요추추간판탈출증 이라고 합니다.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퇴행성 척추질환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합니다. 하지만 허리디스크처럼 급격하거나 우발적인 사고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없고오랜 시간 뼈, 인대, 디스크 등이 퇴화되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발생합니다.

선천적으로 척추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하기 시작하여 50대에 가장 많이 겪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이 심해질 경우 오래 걷기 힘들어지는 신경인성 파행증이 나타나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이 생기므로 꼭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척추전방전위증

척추전방전위증은 위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앞으로 밀려나가면서 배 쪽으로 튀어나와 신경을 손상시켜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크게 척추분리증에 의한 전방 전위증, 퇴행성 변화에 의한 전방전위증, 외상에 의한 전방전위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주로 한 군데에서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환자에 따라 여러 군데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위 척추 뼈가 뒤로 밀린 것은 척추후방전위증이라고 합니다.

척추분리증

척추분리증은 척추 뼈의 앞과 뒤를 연결하는 협부라는 부위가 분리된 상태를 말합니다.

디스크(추간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척추 뼈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면서 척추 모양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허리에서 흔하게 나타나고 허리 중에선 5번 척추 뼈(요추)에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척추불안정증

척추 뼈와 뼈 사이를 붙여주는 디스크, 인대, 후관절 등이 퇴화되면서 척추를 지지해주는 힘이 약해져 척추가 흔들리는 상태를 말합니다.

척추 뼈가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서서히 미끄러져 내리며 척추의 배열이 불안정해져 척추관을 압박하거나 척추 뼈 마디가 밀려 통증, 신경이상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척추불안정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 퇴행성 척추질환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정면에서 봤을 때 일자로 곧게 뻗어야 할 척추가 C자형 또는 S자형으로 굽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단순히 2차원적으로 굽어진 것이 아니라 척추의 회전축까지 변하는 3차원적인 기형상태입니다.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전체 환자의 85~90% 정도이고, 선천적으로 태어날 때부터 척추 형성 과정에 이상이 생겨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퇴행성디스크

퇴행성디스크는 디스크 내부의 수핵을 구성하는 수분이 줄어들면서 디스크가 납작해지고 탄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외부의 충격을 제대로 흡수할 수 없게 되면서 통증이 생깁니다.

디스크가 줄어들면 떨어진 부위의 척추 뼈가 가시처럼 자라나 디스크와 함께 신경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로 50대 이상 남성에게서 발생하는데, 최근에는 30~40대에서도 쉽게 발견되고 있습니다.

디스크내장증

디스크내장증은 디스크의 내부가 변성되면서 허리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디스크내장증은 디스크(추간판)가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추간판탈출증과 달리 디스크 내부의 성질이 변하고 섬유륜이 찢어지면서 허리통증이 나타나는 디스크 변성 질환입니다.

본래 디스크는 다량의 수분으로 이뤄져 있는데 퇴행성 변화를 겪거나 반복적으로 충격을 받으면 수분이 줄어들게 되면서

블랙디스크(MRI 검사상 디스크가 검은 색으로 보이는 것) 변성이 일어나게 되고 손상된 부분에서 염증 물질이 나와 통증이 발생합니다.

후관절통

후관절통은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허리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후관절은 척추 뼈 뒤쪽에 존재하는 관절로 디스크와 함께 쿠션 역할을 합니다.

퇴행성 변화에 의해 후관절이 손상되어 허리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후관절통 또는 척추후관절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좌골신경통

좌골신경통은 좌골신경의 영향을 받는 모든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좌골신경은 허리 하부와 천장관절의 상부에서 시작되는 신경묶음입니다.

골반 속을 통과하여 엉덩이 밑을 지나 무릎 뼈 뒤쪽의 오금 윗부분에서 두 개로 갈라지는데, ‘경골신경은 발바닥으로, ‘비골신경은발등으로 내려갑니다.

좌골신경통이란 좌골신경의 지배를 받는 모든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좌골신경통의 평생유병률을 13~40% 정도 되는 것으로 보고 있고 남녀 모두에게서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요추압박골절

요추압박골절은 척추 뼈가 납작하게 내려앉아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요추압박골절은 척추관협착증, 후관절증후군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노인성 허리통증 질환입니다.

흔히 골절이라고 말하면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상태를 말하지만 척추 압박골절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맞물려 있어야 할 척추 뼈가 납작하게 내려앉는 증상을 말합니다.

척추 뼈는 웬만해선 쉽게 골절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골밀도가 현저히 낮아지거나 골다공증을 겪을 경우 가벼운 엉덩방아만으로도 쉽게 척추 뼈가 내려 앉는 압박골절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인대통

인대통은 인대가 약해져 통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움직임이 많은 허리와 어깨, 무릎에서 많이 나타나고 목, , 손목, 손가락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인대약화증후군이라고도 부르며 근막통증증후군처럼 환부를 누르면 심한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척추 쪽에 인대통이 생길 경우 허리디스크로 착각될 정도로 심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