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디스크

목디스크는 수핵의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발생합니다.

경추 뼈와 뼈 사이를 잇는 디스크는 목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 내부의 수핵은 수분으로 이뤄져 있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탄력성이 떨어져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목 뼈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주변 근육이나 인대도 약한 편이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 비해 손상 빈도가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는 퇴행성 변화에 의해 수핵의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의

잘못된 자세습관에 의한 변형(거북목, 일자목), 운동 중 부상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디스크가 심해질 경우 척수가 눌려 하반신 또는 전신마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경추관협착증

척추관은 척추 가운데 위치한 동그란 관으로 뇌에서부터 팔, 몸통, 다리로 연결되는 신경다발(척수)이 지나가는 길입니다.

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거나 손상시키는 질환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합니다.

보통 척추관협착증은 허리에 많이 발생하지만 경우에 따라 경추()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추 척추관협착증은 허리와 다르게 척추를 직접 압박할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목부터 다리까지 전신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경공협착증

신경공협착증은 척추관협착증과 더불어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 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수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 발생한다면, 신경공협착증은 척추관을 빠져나와

팔다리로 가는 신경이 지나가는 신경공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되거나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다른 척추질환과 다르게 MRI 검사 상 큰 이상이 없어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자목증후군(거북목증후군)

일자목증후군은 옆에서 봤을 때 형태가 변형된 상태입니다.

경추()은 옆에서 보았을 때 C자 형태로 커브를 나타내고 있어야 스프링처럼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일자목증후군이란 목의 커브가 I자 또는 역C자 형태로 변형된 상태로 목디스크 또는 경추 퇴행성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

후종인대골화증

후종인대골화증은 후종인대가 유전적 이상, 외상, 타질환 등의 원인에 의해 두터워지고 뼈처럼 딱딱해져 각종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척추 뼈를 구성하는 원통형 뼈(추체)는 전종인대와 후종인대가 앞뒤에서 받쳐주고 있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 받습니다.

근막통

근막통은 근육이 딱딱하게 뭉쳐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잘못된 자세나 스트레스에 의해 근육이 장시간 긴장하면서 영양분과 산소가 부족해져 발생합니다.

뒷목, 어깨, , , 허리, 엉치, 허벅지, 장딴지 등과 같은 국소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입니다.